티스토리 뷰
예외
자바 개발자가 가장 신경 쓰기 귀찮아 하는 것 중의 하나가 바로 예외처리다.
사라진 SQLException
초난감 예외처리
개발자들의 코드에서 종종 발견되는 초난감 예외처리의 대표선수들을 살펴보자.
예외 블랙홀
try{
...
} catch(SQLException e){
}
예외가 발생하면 그것을 catch 블록을 써서 잡아내는 것까지는 좋은데 아무것도 하지 않고 별문제 없는 것처럼 넘어가 버리는 건 정말 위험한 일이다. 원치 않는 예외가 발생하는 것보다도 훨씬 더 나쁜 일이다. 왜냐하면 프로그램 실행 중에 어디선가 오류가 있어서 예외가 발생했는데 그것을 무시하고 계속 진행해버리기 때문이다.
단순히 예외를 출력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 catch(SQLException e) {
System.out.println(e);
}
} catch(SQLException e) {
e.printStackTrace();
}
화면에 메세지를 출력한 것은 예외처리를 한 것이 아니다.
예외를 처리할 때 반드시 지켜야 할 핵심 원칙은 한 가지다. 모든 예외는 적절하게 복구되든지 아니면 작업을 중단시키고 운영자 또는 개발자에게 분명하게 통보돼야 한다.
무의미하고 무책임한 throws
모든 메소드에 throws Exception
을 기계적으로 붙이는 개발자도 있다.
public void method1() throws Exception {
method2();
}
public void method2() throws Exception {
method3();
}
public void method3() throws Exception {
}
일일이 cathc하기도 귀찮고, 별 필요도 없으며 매번 정확하게 예외 이름을 적어서 선언하기도 귀찮으니 아예 throws Exception이라는, 모든 예외를 무조건 던져버리는 선언을 모든 메소드에 기계적으로 넣는 것이다.
이런 선언은 의미 있는 정보를 얻을 수 없다.
이 두 가지 나쁜 습관은 어떤 경우에도 용납하지 않아야 한다.
예외의 종류와 특징
자바에서 throw를 통해 발생시킬 수 있는 예외는 크게 세 가지가 있다.
Error
java.lang.Error 클래스의 서브클래스들이다. 에러는 시스템에 뭔가 비정상적인 상황이 발생했을 경우에 사용된다. 그래서 주로 자바 VM에서 발생시키는 것이고 애플리케이션 코드에서 잡으려고 하면 안된다. OutOfMemoryError나 ThreadDeath같은 에러는 catch 블록으로 잡아봤자 아무런 대응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Exception과 체크 예외
java.lang.Exception 클래스와 그 서브클래스로 정의되는 예외들은 에러와 달리 개발자들이 만든 애플리케이션 코드의 작업 중에 예외상황이 발생했을 경우에 사용된다.
Exception 클래스는 체크 예외
와 언체크 예외(unchecked exception)
로 구분된다.
- 체크 예외 : Exception 클래스의 서브클래스이면서 RuntimeException 클래스를 상속하지 않은 것들
- 언체크 예외 : RuntimeException을 상속한 클래스
RuntimeException은 Exception의 서브클래스이므로 Exception의 일종이긴 하지만 자바는 이 RuntimeException과 그 서브클래스는 특별하게 다룬다.
일반적으로 예외라고 하면 Exception 클래스의 서브클래스 중에서 RuntimeException을 상속하지 않은 것만을 말하는 체크 예외라고 생각해도 된다. 체크 예외가 발생할 수 있는 메소드를 사용할 경우 반드시 예외를 처리하는 코드를 함께 작성해야 한다.
RuntimeException과 언체크/런타임 예외
java.lang.RuntimeException 클래스를 상속한 예외들은 명시적인 예외처리를 강제하지 않기 때문에 언체크 예외라고 불린다. 또는 대표 클래스 이름을 따서 런타임 예외라고도 한다. 에러와 마찬가지로 이 런타임 예외는 catch문으로 잡거나 throws로 선언하지 않아도 된다.
런타임 예외는 주로 프로그램의 오류가 있을 때 발생하도록 의도된 것들이다.(ex. NullPointerException, IllegalArgumentException) 이런 예외는 코드에서 미리 조건을 체크하도록 주의 깊게 만든다면 피할 수 있다. 피할 수 있지만 개발자가 부주의해서 발생할 수 있는 경우에 발생하도록 만든 것이 런타임 예외다.
예외처리 방법
예외 복구
첫 번째 예외처리 방법은 예외상황을 파악하고 문제를 해결해서 정상 상태로 돌려놓는 것이다.
예외로 인해 기본 작업 흐름이 불가능하면 다른 작업 흐름으로 자연스럽게 유도해주는 것이다. 이런 경우 예외상황은 다시 정상으로 돌아오고 예외를 복구했다고 볼 수 있다.
예외처리 코드를 강제하는 체크 예외들은 이렇게 예외를 어떤 식으로든 복구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 사용한다.
예외처리 회피
두 번째 방법은 예외처리를 자신이 담당하지 않고 자신을 호출한 쪽으로 던져버리는 것이다. throws 문으로 선언해서 예외가 발생하면 알아서 던져지게 하거나 catch 문으로 일단 예외를 잡은 후에 로그를 남기고 다시 예외(rethrow)를 던지는 것이다.
예외를 회피하는 것은 예외를 복구하는 것처럼 의도가 분명해야 한다. 콜백/템플릿처럼 긴밀한 관계에 있는 다른 오브젝트에게 예외처리 책임을 분명히 지게 하거나,자신을 사용하는 쪽에서 예외를 다루는 게 최선의 방법이라는 분명한 확신이 있어야 한다.
예외 전환
발생한 예외를 그대로 넘기는 것이 아니라 적절한 예외로 전환해서 던진다는 특징이 있다.
첫째, 내부에서 발생한 예외를 그대로 던지는 것이 그 예외상황에 대한 적절한 의미를 부여해주지 못하는 경우에, 의미를 분명하게 해줄 수 있는 예외로 바꿔주기 위해서다.
두 번째 전환 방법은 예외를 처리하기 쉽고 단순하게 만들기 위해 포장하는 것이다. 주로 예외처리를 강제하는 체크 예외를 언체크 예외인 런타임 예외로 바꾸는 경우에 사용한다.
예외처리 전략
런타임 예외의 보편화
일반적으로는 체크 예외가 일반적인 예외를 다루고, 언체크 예외는 시스템 장애나 프로그램사으이 오류에 사용된다고 했다. 문제는 체크 예외는 복구할 가능성이 조금이라도 있는, 말 그대로 예외적인 상황이기 때문에 자바는 이를 처리하는 catch 블록이나 throws 선언을 강제하고 있다는 점이다.
하지만 독립형 애플리케이션과 달리 서버의 특정 계층에서 예외가 밸생했을 때 작업을 일시 중지하고 사용자와 바로 커뮤니케이션하면서 예외상황을 복구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자바의 환경이 서버로 이동하면서 체크 예외의 활용도와 가치는 점점 떨어지고 있다.
자칫하면 throws Exception으로 점철된 아무런 의미도 없는 메소드들을 낳을 뿐이다. 그래서 대응이 불가능한 체크 예외라면 빨리 런타임 예외로 전환해서 던지는게 낫다.
자바 초기부터 있었던 JDK의 API와 달리 최근에 등장하는 표준 스펙 또는 오픈소스 프레임워크에서는 API가 발생시키는 예외를 체크 예외 대신 언체크 예외로 정의하는 것이 일반화되고 있다.
애플리케이션 예외
런타임 예외 중심의 전략은 굳이 이름을 붙이자면 낙관적인 예외처리 기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일단 복구할 수 있는 예외는 없다고 가정하고 예외가 생겨도 어차피 런타임 예외이므로 시스템 레벨에서 알아서 처리해줄 것이고, 꼭 필요한 경우는 런타임 예외라도 잡아서 복구하거나 대응해줄 수 있으니 문제 될 것이 없다는 낙관적인 태도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반면에 시스템 또는 외부의 예외상황이 원인이 아니라 애플리케이션 자체의 로직에 의해 의도적으로 발생시키고, 반드시 catch 해서 무엇인가 조치를 취하도록 요구하는 예외도 있다. 이런 예외들을 일반적으로 애플리케이션 예외라고 한다.
SQLException은 어떻게 됐나?
먼저 생각해볼 사항은 SQLException은 과연 복구가 가능한 예외인가이다. 대부분의 SQLException은 복구가 불가능하다. 더군다나 DAO 밖에서 SQLException을 다룰 수 있는 가능성은 거의 없다. 따라서 예외처리 전략을 적용해야 한다. 필요도 없는 기계적인 throws 선언이 등장하도록 방치하지 말고 가능한한 빨리 언체크/런타임 예외로 전환해줘야 한다.
스프링의 JdbcTemplate은 바로 이 예외처리 전략을 따르고 있다. JdbcTemplate 템플릿과 콜백 안에서 발생하는 모든 SQLException을 런타임 예외인 DataAccessException으로 포장해서 던져준다. 따라서 JdbcTemplate을 사용하는 UserDao 메소드에선 꼭 필요한 경우에만 런타임 예외인 DataAccessException을 잡아서 처리하면 되고 그 외의 경우에는 무시해도 된다.
그 밖에도 스프링의 API 메소드에 정의되어 있는 대부분의 예외는 런타임 예외다. 따라서 발생 가능한 예외가 있다고 하더라도 이를 처리하도록 강제하지 않는다.
예외 전환
JDBC의 한계
표준화된 JDBC API 가 DB 프로그램 개발 방법을 학습하는 부담은 확실히 줄여주지만 DB를 자유롭게 변경해서 사용할 수 있는 유연한 코드를 보장해주지는 못한다. 현실적으로 DB를 자유롭게 바꾸어 사용할 수 있는 DB 프로그램을 작성히는 데는 두가지 걸림돌이 있다.
비표준 SQL
대부분의 DB는 표준을 따르지 않는 비표준 문법과 기능을 제공한다.(ex. 페이징) 다른 DB로 변경하려면 DAO에 담긴 SQL을 적지 않게 수정해야 한다.
호환성 없는 SQLException의 DB 에러정보
DB마다 SQL 뿐만 아니라 에러의 종류와 원인도 제각각이라는 점이다. 그래서 JDBC는 데이터 처리 중에 발생하는 다양한 예외를 그냥 SQLException 하나에 모두 담아버린다.
DB 에러 코드 매핑을 통한 전환
해결 방법은 DB별 에러 코드를 참고해서 발생한 예외의 원인이 무엇인지 해석해주는 기능을 만드는 것이다. 하지만 DB의 JDBC 드라이버에서 SQLException을 담을 상태코드를 정확하게 만들어주지 않는다는 점이다. 결국 호환성 없는 에러 코드와 표준을 잘 따르지 않는 상태 코드를 가진 SQLException만으로 DB에 독립적인 유연한 코드를 작성하는 건 불가능에 가깝다.
DataAccessException 계층 구조 및 활용시 주의사항
DataAccessException은 의미가 같은 예외라면 데이터 액세스 기술의 종류와 상관없이 일관된 예외가 발생하도록 만들어준다. 데이터 액세스 기술에 독립적인 추상화된 예외를 제공하는 것
이다.
대부분의 데이터 액세스 예외는 애플리케이션에서는 복구 불가능하거나 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그렇다고 모든 예외를 다 무시해야 하는 건 아니고, 중복 키 에러처럼 비즈니스 로직에서 의미 있게 처리할 수 있는 예외도 있다. 문제는 데이터 액세스 기술이 달라지면 같은 상황에서도 다른 종류의 예외가 던져진다는 점이다. 중복 키 에러가 발생했을 때 JDBC로 만든 DAO에서는 SQLException이, JPA에서는 PersistenceException이, 하이버네이트에서는 HibernateException이 던져진다. 따라서 DAO를 사용하는 클라이언트 입장에서는 DAO의 사용 기술에 따라서 예외 처리 방법이 달라져야 한다. 결국 클라이언트가 DAO의 기술에 의존적이 될 수밖에 없다.
그래서 스프링은 자바의 다양한 데이터 액세스 기술을 사용할 때 발생하는 예외들을 추상화해서 DataAccessException 계층구조 안에 정리해놓았다. DataAccessException은 자바의 주요 데이터 액세스 기술에서 발생할 수 있는 대부분의 예외를 추상화하고 있다. 스프링의 DataAccessException은 JDBC가 아닌 다른 기술들에서만 공통적으로 발생하는 예외도 포함해서, 데이터 액세스 기술에서 발생 가능한 대부분의 예외를 계층구조로 분류해놓았다.
예를 들어, JPA, 하이버네이트처럼 오브젝트/엔티티 단위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경우에는 낙관적인 락킹(optimistic locking)이 발생할 수 있다. 이 낙관적인 락킹은 같은 정보를 두 명 이상의 사용자가 동시에 조회하고 순차적으로 업데이트를 할 때, 뒤늦게 업데이트한 것이 먼저 업데이트한 것을 덮어쓰지 않도록 막아주는 데 쓸 수 있는 편리한 기능이다. 이런 예외들은 사용자에게 적절한 안내를 해주면서 다시 시도할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하는데, 문제는 각 기술마다 다른 종류의 낙관적인 락킹 예외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스프링의 예외 전환 방법을 적용하면 기술에 상관없이 DataAccessException의 서브클래스인 ObjectOptimisticLockingFailureException
으로 통일시킬 수 있다.
DataAccessException이 기술에 상관없이 어느 정도 추상화된 공통 예외로 변환하긴 하지만 근본적인 한계 때문에 완벽하다고 기대할 수는 없다. 따라서 사용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참고
- 토비의 스프링 3.1 Vol. 1 스프링의 이해와 원리
'Programming > 토비의 스프링 3.1'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비의 스프링] AOP - 2 (0) | 2020.07.01 |
---|---|
[토비의 스프링] AOP - 1 (0) | 2020.07.01 |
[토비의 스프링]템플릿 (0) | 2020.03.20 |
[토비의 스프링]테스트 (0) | 2020.03.18 |
[토비의 스프링]오브젝트와 의존관계 (0) | 2020.03.18 |
- Total
- Today
- Yesterday
- Spring
- 애플리케이션컨텍스트
- gradle
- DI
- apache
- stringbuffer
- IoC
- 413
- 빌드도구
- 자바
- lombok
- 연동
- shellscript
- 스프링프레임워크
- jar 실행
- java
- JsonIgnore
- StringBuilder
- springboot
- 쉘스크립트
- 스프링
- mod_jk
- 빈팩토리
- JsonProperty
- 토비의스프링
- final
- 템플릿
- Tomcat
- EmbededTomcat
- AOP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